부산 동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부산 동 가볼만한곳 베스트10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부산 동의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다채로운 문화 체험을 즐길 수 있는 베스트 10 관광지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이 목록은 한국관광공사의 인기 순위를 참고하여 선정되었으며, 다양한 즐길 거리와 매력적인 명소들이 가득합니다.
가족, 친구 또는 연인과 함께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싶다면 이 목록을 참고하시어, 행복한 추억을 쌓으세요. 멋진 여행 되시길 바랍니다!
부산진성공원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부산진성공원 소개
부산 동구 범일동에는 지방기념물인 부산진성이 있습니다.
흔히 자성대로 부르는 부산진성은 임진왜란 때 왜적이 부산성을 헐고 성의 동남부에 일본식의 성을 쌓아 지휘소로 이용한 곳입니다.
왜적이 물러간 뒤에는 명나라의 만세덕군이 진주한 일이 있어 만공대라고도 했었습니다.
임진왜란 뒤에 다시 수축되어 좌도수군첨절제사의 진영으로 활용되었습니다.
기록에 의하면 동서의 산을 따라 성벽으로 성곽을 두르고 바닷물을 끌어들여 참호를 20m쯤의 넓이로 만들어 배가 바로 성벽에 닿도록 되어 있었습니다고 합니다.
이 성의 현재 모습은 1974년 7월 8일부터 1975년 2월 25일까지 부산시에서 정화 복원공사를 하여 동문, 서문, 장대를 신축하여 동문을 진동문, 서문을 금루관, 자성대 위의 장대를 진남대라 각각 명명하여 그 편액을 달았습니다.
이 당시 정화공사로 신축된 건춘문, 금루관, 진남대와 함께 임진왜란 때 왜적이 쌓은 2단의 일본식 성벽이 남아 있습니다.
그리고 1975년 9월 동문 주변 성곽을 신축하였으며 지금 서문의 금루관은 높다란 다락이 되어 우뚝 서 있고 문의 왼쪽에는 남요인후라 새긴 돌기둥이 서 있으며, 문의 오른쪽에는 서문쇄약이라 새긴 돌기둥이 서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부산진성공원 기본 정보
부산 차이나타운특구(상해문.상해거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부산 차이나타운특구(상해문.상해거리) 소개
부산 상해거리는 동구 초량동에 위치한 중국인 최대 거주지역이자 중국의 다양한 문화와 먹거리를 만날 수 있는 곳입니다.
일제강점기를 지나면서 중국인들이 이주해 형성된 거리이며, 과거 중국 영사관이 있기도 했습니다.
2007년 국내 유일의 차이나타운특구로 지정된 바 있습니다.
최근 화교들이 운영하는 중식당과 만두집 등이 SNS를 통해 알려지면서 국내외 여행자들의 방문이 늘고 있습니다.
매년 개최하는 부산 차이나타운특구 문화축제도 볼거리입니다.
상해거리 입구에는 부산시와 상해시의 우호를 상징하는 조형물인 상해문이 자리하고 있으며, 붉은 기둥과 중국풍 기와로 된 지붕 아래 금색 글씨의 상해문 현판이 달려있습니다.
상해거리 끝에는 동화문이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부산 차이나타운특구(상해문.상해거리) 기본 정보
보광사(부산)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보광사(부산) 소개
보광사는 수정산 자락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의 사찰로 동구 범일동에 위치해 있습니다.
현대에 지어진 사찰로서 깨끗한 경내시설을 갖추고 있고 도시에서 산을 접할 수 있는 곳에 자리해 방문객들의 편의를 높였다.
보광사 대웅전에는 18세기 전후에 제작된 불상인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이 봉안되어 있으며 보존 상태도 양호하다.
색난 계열의 조각승에 의해 제작된 불상으로 추정됩니다.
본존은 아미타여래이며 양측의 좌우협시보살은 관음과 대세지보살로서 모두 3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보광사(부산) 기본 정보
주차시설 있음 (약 소형 10대, 무료)
쉬는 날 연중무휴
문화공감 수정(부산 수정동 일본식 가옥)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문화공감 수정(부산 수정동 일본식 가옥) 소개
문화공감 수정(문화재명:부산 수정동 일본식 가옥)은 1943년에 지어진 일본식 건물로 넓은 대지 안에 맞배지붕으로 되어 있는 대문 3칸이 있고 몸채 1동이 남쪽을 향해 있습니다.
몸채 현관의 오른쪽은 벽돌(조적조)로 지어져 있으며 이를 제외한 대부분은 일본식 목조 주택으로 지어졌다.
현재 1층의 일부는 온돌방으로 개조되어 있으나 2층에는 전형적인 일본 식 주택에서 볼 수 있는 툇마루(연가와)와 장마루를 설치한 복도, 그리고 다다미방이 원형대로 남아있습니다.
또한 다다미가 깔려 있는 실내에는 도코노마, 쓰케쇼인, 명장지, 다다미, 일본식 창호 문양 등의 세부적인 장식이 원형대로 보존되어있습니다.
고급 일본식 건물의 외장 요소를 잘 갖추고 있으며 특히 2층의 일본 식 전통 주택의 형식을 철저히 따른 공간의 구성과 치장이 특징적입니다.
일제 강점기 근대 주택 건축사와 생활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적 가치를 지닌 곳으로 평가받는 공간입니다.
(출처 : 문화공감 수정 홈페이지)
문화공감 수정(부산 수정동 일본식 가옥) 기본 정보
홈페이지 문화공감 수정 http://ntchmgsugung.modoo.at/
비짓부산 http://www.visitbusan.net/kr/index.do
운영 시간 10:00~17:00
주차시설 주차가능(수정1동 공용주차장)
쉬는 날 매주 월요일
소림사(부산)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소림사(부산) 소개
대한조계종 소림사는 1913년 승려 송영이 창건하였으며, 해방 직후인 1945년 비구니 정금광이 인수하였습니다.
1948년 순 한국식 불단으로 개조하여 가람을 수호하며 포교 활동을 활발하게 했습니다.
소림사는 부산 대중 불교의 산실이자 부산 지역의 지도적인 재가 불자를 양성한 대표 사찰입니다.
산림 법회를 60여년간 지속해 오고 있으며 그밖에 다양한 법회와 기도 등을 행하고 있습니다.
소림사의 전각은 무량수전과 대웅전이 있으며, 무량수전에는 본존불인 아미타불상과 좌우에 관음보살상, 지장보살상을 봉안하고 있습니다.
무량수전 내에는 신중단, 칠성단, 독성단, 산신단 등이 있고, 대웅전은 석가모니 불상과 관세음보살상, 대세지보살상을 봉안하고 있으며, 지장보살상, 홍법대사상, 부동명왕상도 함께 봉안하고 있습니다.
소림사(부산) 기본 정보
부산 진지성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부산 진지성 소개
임진왜란 이전의 부산전성 지성 터이자 임진왜란 후의 부산진 첨사영터의 성곽은 아주 넓었으나 일제강점기의 전차선로 공사와 매축으로 인해 예전의 모습은 찾아볼 수 없으며, 1974년 7월 8일~1975년 2월 25일까지 시행된 정화복원공사 때 현재의 모습으로 신축하였습니다.
동문(진동문-鎭東門),서문(금루관-金壘關),장대(진남루-鎭南縷)가 있습니다.
서문의 왼쪽에 남요인후(南요因喉-이곳은 나라의 목에 해당할 만큼 요충지가 되는 남쪽의 국경입니다.
)이라 새긴 돌기둥(높이 272cm, 폭 46cm x 94cm)을 세우고, 문의 오른쪽에는 서문쇄약(西門鎖약)-서문은 나라의 자물쇠와 같다)라 새긴 돌기둥(높이 277cm, 폭 62cm x 71cm)을 세웠다.
이 두 우주석은 본래 부산진 첨사영성(釜山眞 僉使營城)의 자리였던 현 성남국민학교 교정에 버려져 있던 것을 1975년 정화공사 때 복원하여 지금의 자리에 옮겨 세운 것입니다.
장대(진남루-鎭南樓)의 동쪽에는 충장공 천만리 장군 유적비가 세워져 있습니다.
그 밖에도 최영장군사당과 최영장군 항제가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부산 진지성 기본 정보
부산진일신여학교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부산진일신여학교 소개
부산진일신여학교는 동구 좌천동 있는 부산 최초의 근대식 여성 교육기관입니다.
1909년에 만들어진 서양식 근대 건물의 원형과 이후 증축한 부분까지 잘 보존된 점에서 건축사적 의의가 크다.
부산의 근대 건축물 대부분이 일제에 의해 지어진 것과 다르게, 부산진일신여학교 건물은 호주인 선교사들이 지은 서양식 건물로 이러한 가치를 인정받아 2003년 5월 부산광역시 기념물로 지정됐습니다.
건물의 1층 외부는 석조이고, 2층은 붉은 벽돌로 되어 있지만, 내부는 목재로 감싼 점이 특이하다.
건물 바깥에 벽돌을 쌓은 기술이 매우 뛰어날 뿐만 아니라 건물 정면의 계단과 2층 난간은 20세기 초 서양식 건물의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습니다.
건물이 앉은 터는 약간 언덕을 이룬 곳인데, 2층에 남향으로 베란다를 두어 건물이 만들어진 당시 부산항의 전경을 볼 수 있게 한 점도 눈여겨볼 만하다.
부산진일신여학교는 선교사가 세운 타 교육기관들과 마찬가지로 성경과 영어를 가르쳤으며, 그 밖에 한글, 역사, 지리, 수학, 심리학, 식물학 등 다양한 과목에 대한 교육을 담당했습니다.
민족과 성별에 따른 차별적 교육이 이뤄지던 일제강점기, 부산진일신여학교는 조선인으로서 그리고 여성으로서 세상을 보는 법을 가르친 곳이었습니다.
부산진일신여학교 기본 정보
홈페이지 https://www.bsdonggu.go.kr
운영 시간 월~금 09:00~17:00
주차시설 있음 (약 소형 10대)
쉬는 날 토 / 일
남도해양열차 S-트레인(S-train)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남도해양열차 S-트레인(S-train) 소개
남도해양관광열차 S-트레인은 경상남도와 전라남도를 연결하는 관광열차입니다.
S-트레인의 S는 바다(Sea)의 첫 글자와 곡선 모양의 경전선, 리아스식 해안인 남해안 모양을 형상화한 것입니다.
천혜의 자연경관과 풍성한 남도의 문화를 이어주는 행복하고 편안한 SLOW 기차여행을 추구합니다.
기차는 남도 해양의 특징인 다도해의 모습과 쪽빛 바다의 물결을 서정적인 심볼로 형상화한 외관으로 장식했습니다.
남도해양열차는 5량의 객차로 1호차는 힐링실, 2호차는 다례실, 3호차는 카페 및 커플석, 4호차는 가족실, 5호차는 이벤트실, 자전거 거치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남도해양열차는 서울~서대전~전주~순천~여수를 지나는 전라선과 광주송정~벌교~순천~진주~마산~구포~부산역으로 이어지는 경전선이 있습니다.
운행시간은 코레일에서 확인 가능하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남도해양열차 S-트레인(S-train) 기본 정보
홈페이지 https://www.letskorail.com
운영 시간 코레일 홈페이지 참고
주차시설 있음 (부산역 공영주차장, 유료)
쉬는 날 연중무휴
옛백제병원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옛백제병원 소개
부산에 남아있는 근대건축물 중에서 지금까지 계속해서 용도변경을 통해 끊임없이 변화하며 보존되어 있는 곳입니다.
1922년 명지 출신의 최용해 씨가 지은 최초의 근대식 개인종합병원으로 당시 1,2층 건물이 대부분이었던 시절, 5층 벽돌 건물에 서양 의료진을 두며 성업했으나 악성 루머와 경영난을 겪게 되자 최용해가 일본으로 야반도주하면서 관리권이 중국인에게 넘어가게 됩니다.
현재는 4층 일반상가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옛백제병원 기본 정보
초량교회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초량교회 소개
초량교회는 1892년 선교사 윌리엄 베어드가 설립한 부산 최초의 교회이며 선교사에 의해 설립된 한강 이남 최초의 교회다.
처음에는 선교사 기지내의 영선현교회로 시작했는데, 교세가 늘어나자 영주동 봉래초등학교 앞에 있던 동사무소를 빌려 교육관으로 사용하다가 1912년 이곳을 매입해 교회로 바꿨다.
이후 영주동교회, 초량3·1교회를 거쳐 초량교회로 교회명을 바꾸었습니다.
일제강점기 초량교회는 항일민족독립운동과 밀접한 관계를 지니고 있었습니다.
신사참배 반대운동에 앞장섰으며 독립운동가들의 비밀 기도처가 됐습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습니다.
현재는 초량교회 역사관을 운영하며 교회가 보관하고 있는 역사적 자료들과 함께 힘들었던 시대에 초량교회가 걸어온 발자취를 전시하고 있습니다.
초량교회 기본 정보
홈페이지 http://www.choryang.org
주차시설 있음 (교회주차장 / 초량주차장 / 부산주차장 이용 가능, 무료)
쉬는 날 연중무휴
지금까지 부산 동 가볼만한곳 베스트10에 대한 소개였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