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사상 가볼만한곳 베스트5 | 여행 명소 추천

이미지
부산 사상 가볼만한곳 베스트5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매력적인 부산 사상에서 놓쳐서는 안 될 베스트 5 관광지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이 목록은 한국관광공사의 인기 순위를 기반으로 선정되었으며, 독특한 자연 경관, 문화 유산, 그리고 다양한 액티비티를 즐길 수 있는 명소들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친구, 가족 또는 연인과 함께 색다른 경험을 만들어보시길 바라며, 이번 여행이 여러분에게 소중한 추억으로 남기를 바랍니다. 즐거운 여행 되시길 바랍니다!           삼락생태공원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삼락생태공원 소개 삼락은 가장 넓은 둔치지역을 자랑하는 곳으로, 다양한 자연환경과 시민들을 위한 친수공간이 조성되어 있는 체육 및 휴식공간입니다. 삼락생태공원은 과거 비닐하우스 경작지였던 곳을 1998년 사상구청에서 삼락둔치 상단부 일부에 운동장(446,280㎡)을 조성하였고, 2006년 부산시 낙동강둔치 재정비사업으로 겨울철새 먹이터로 이용하기 위한 친환경영농원 793,388㎡, 물놀이장, 인라인스케이트장 등 체육시설과 66,115㎡의 습지를 복원하였습니다. 2009년 4대 강 살리기 사업으로 영농원은 모두 철거하여 철새먹이터, 습지 등으로 복원하였고, 일부공간에 계류장을 조성하여 향후 수상레저 등을 즐길 수 있도록 기반을 구축하였습니다. 삼락생태공원은 크게 세 부분으로 볼 수 있는데, 첫째는 최상단부와 중앙 부분에 시민들을 위한 체육시설, 둘째는 상단부 쪽에 갈대 및 갯버들 군락의 커다란 자연초지(일부 맹꽁이 서석지)와 곳곳의 산책로, 셋째는 하단부의 갈대습지 형성과 철에 많은 철새들이 찾아오는 곳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삼락생태공원 기본 정보     주소 부산광역시 사상구 낙동대로 12...

부산 남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부산 남 가볼만한곳 베스트10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부산 남의 다양한 매력과 흥미로운 볼거리를 담은 베스트 10 관광지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이 목록은 한국관광공사의 인기 순위를 기반으로 선정되었으며, 자연의 아름다움, 풍부한 역사, 그리고 다양한 즐길 거리를 제공하는 명소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가족, 친구 또는 연인과 함께하는 여행에 이 목록을 참고하시어, 행복한 추억을 만들어보세요. 즐거운 여행 되시길 바랍니다!

 

 

 

 


 


오륙도 (부산 국가지질공원)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오륙도 (부산 국가지질공원) 소개


오륙도는 용호동 앞바다의 거센 물결 속에 솟아있는 6개의 바위섬으로, 육지에서 가까운 것부터 방패섬, 솔섬, 수리섬, 송곳섬, 굴섬, 등대섬으로 나누어진다.
오륙도는 12만 년 전 까지는 육지에 이어진 하나의 작은 반도였으나, 오랜 세월을 거치는 동안 거센 파도에 의한 침식작용으로 육지에서 분리되어 형성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것은 육지인 승두말과 방패섬·솔섬의 지질적 구성이 동일한 점에서도 알 수 있습니다.
오륙도란 이름은 1740년에 편찬된 동래부지 산천조(東萊府誌 山川條)에 오륙도는 절영도 동쪽에 있습니다.
봉우리와 뫼의 모양이 기이하고 바다 가운데 나란히 서 있으니 동쪽에서 보면 여섯 봉우리가 되고 서쪽에서 보면 다섯 봉우리가 되어 이렇게 이름한 것입니다.
오륙도에서 이기대공원까지 이어지는 해안지질탐방로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는 오륙도스카이워크에서부터 동생말전망대까지 총 4.7km 구간의 해안산책로이면서 오륙도, 오륙도해맞이공원, 오륙도스카이워크, 동생말 전망대가 있는 우수한 국가지질공원인 이기대공원의 트래킹 코스입니다.
동생말 전망대에서는 부산의 랜드마크인 광안대교와 해운대 고층빌딩의 화려한 야경을 볼 수 있어 부산의 숨은 야경명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출처: 남구문화관광]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오륙도 (부산 국가지질공원) 기본 정보

 

 

주소 부산광역시 남구 오륙도로 137,
홈페이지 부산국가지질공원
http://www.busan.go.kr/geopark/index
남구 문화관광
https://www.bsnamgu.go.kr/index.namgu?menuCd=DOM_000000601006001000&cpath=

부산동명불원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부산동명불원 소개


용당동 용비산에 자리 잡고 있는 동명불원(東明佛院)은 동명목재 회장 고 강석진씨가 국가번영과 부모의 왕생극락을 빌고 동명의 산업현장에서 일하는 동명 가족들의 행운을 위해 건립했습니다.
대부분의 우리나라 사찰이 한국 전통 양식인데 비해, 이 절은 동남아시아의 영향을 받아 용마루가 곧게 뻗어 있고 미얀마의 고탑에서 발굴된 부처님의 사리를 모셔 놓았으며, 이곳에 안치된 목조개금불상은 우리나라에서 제일 큰 불상이며, 범종 또한 한국 최대 규모로 27t 가량되며, 에밀레종보다 6t 정도 더 무겁다고 합니다.
동명불종은 종두에 사룡이 새겨져 있는데 종래 볼 수 없었던 독특한 기법입니다.
대웅전 내부에는 석가세존을 중심으로 우편에 미륵보살, 좌편에 제화 갈라보살 등 3본을 모셨고, 좌불은 우리나라에서 제일 큰 16m이며 법당의 크기도 498.84m²이나 됩니다.
법당 가운데에는 기둥없는 특수 공법을 사용했고, 내부 천장의 중앙에 4마리의 용머리를 조화시켰으며 양쪽 벽에는 비천상을 새겼다.
극락전, 나한전, 관음전이 갖추어져 있고, 칠성각, 산신각, 독성각은 2층으로 설계하고 2층에는 불교서적을 진열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부산동명불원 기본 정보

 

 

주소 부산광역시 남구 동명로 57, (용당동)
홈페이지
http://www.btbf.kr
주차시설 있음(약 소형 30대)
요금(무료)
쉬는 날 연중무휴

재한유엔기념공원 (UN기념공원)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재한유엔기념공원 (UN기념공원) 소개


* 한국전쟁에 참여한 유엔군의 안식처, 재한유엔기념공원 *

유엔기념공원은 세계 유일의 유엔군 묘지로서, 세계평화와 자유의 대의를 위해 생명을 바친 유엔군 전몰 장병들이 잠들어 있습니다.
이곳 묘지는 한국전쟁이 일어난 이듬해인 1951 년 1월, 전사자 매장을 위하여 유엔군 사령부가 조성하였으며, 같은 해 4 월 묘지가 완공됨에 따라 개성, 인천, 대전, 대구, 밀양, 마산 등지에 가매장되어 있던 유엔군 전몰장병들의 유해가 안장되기 시작하였습니다.
1955 년 11 월 대한민국 국회는 유엔군의 희생에 보답 하기 위해 이곳 토지를 유엔에 영구히 기증하고, 아울러 묘지를 성지로 지정할 것을 결의하였으며, 1955 년 12 월 15 일, 한국정부로부터 국회의 결의사항을 전달받은 유엔은 이 묘지를 유엔이 영구적으로 관리하기로 유엔총회에서 결의문 제 977(X) 호를 채택하였습니다.
한국전 당시 대한민국의 자유와 평화를 지키기 위해서, 군대를 파견한 16개국과 의료 지원단을 보낸 5개국의 용사들 중, 전사한 유엔군 전사장병의 영혼이 잠들어있는 성역으로, 이 곳 기념묘지에는 최초 11,000 여명의 전사자가 안장되어 있었으나, 그 후 유가족이나 본국 정부의 요청으로 이장되어, 현재 2,300 기의 유해가 안장되어 있습니다.
기념묘지의 면적은 14.39㏊(약 45,000평)이며, 한국정부가 1978년에 건립한 12m 높이의 유엔군 위령탑에는 한국전에 파견된 전투장비, 인원 규모, 전사자 현황이 동판에 한글 및 영문으로 새겨져 있으며, 영국 정부가 주체가 되어 건립한 영연방 위령탑에는 영연방 국가의 전사자 중 시신을 찾지 못한 그들의 고귀한 희생을 기리고 있습니다.
그외 터어키(2), 그리스(1), 호주(1)의 기념비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 유엔기념공원으로 살펴보는 한국전쟁 참전국 *

유엔기념공원에는 한국전쟁 당시 참전했던 나라를 알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참전국으로는 전투지원국 16개국과 의료지원국 5개국 등 총 21개국입니다.


1) 전투 지원국(16개국) - 미국, 영국, 터키, 캐나다, 호주, 프랑스, 네덜란드, 뉴질랜드, 남아공, 콜롬비아, 그리스, 태국, 에티오피아, 필리핀, 벨기에, 룩셈부르크
2) 의료 지원국( 5개국) - 노르웨이, 덴마크, 인도, 이탈리아, 스웨덴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재한유엔기념공원 (UN기념공원) 기본 정보

 

 

주소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93 유엔기념공원,
홈페이지 http://www.unmck.or.kr
운영 시간 하절기(5~9월) 09:00~18:00
동절기(10~4월) 09:00~17:00
※ 30분전까지 입장
주차시설 주차 가능
쉬는 날 연중무휴

평화공원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평화공원 소개


부산 시민들의 대표적인 쉼터 평화공원은 동백나무, 소나무 등 수목 3만 그루를 심어 더욱 푸른 공간으로 탄생시켰다.
공원 한가운데 하늘로 솟구쳐 오르는 분수가 있어 여름에는 이곳에서 물놀이를 즐길 수 있고, 밤에는 아름답게 빛나는 분수를 배경으로 연인과 함께 시간을 보내기에 좋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평화공원 기본 정보

 

 

주소 부산광역시 남구 신선로447번길 10,
홈페이지 https://www.bsnamgu.go.kr
운영 시간 00:00~24:00
주차시설 있음(소형, 대형 가능)
쉬는 날 연중무휴

황령산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황령산 소개


황령산(荒嶺山)은 부산의 도심을 감싸며 시원하게 뻗어 내린 산맥이 초록의 울창한 숲을 선물처럼 내어준다.
숲길 걷기 좋아하는 등산객들에겐 숲과 바람과 하늘을 내어주고, 야경을 즐기는 관광객들에겐 황홀한 빛의 세계를 선사해 주는 곳입니다.
또한, 부산의 전형적인 도심의 산으로 부산진구, 남구, 수영구의 경계를 이루는 산으로 해발 427m로 금련산맥 중에서 두 번째로 높은 산입니다.
산역이 그리 넓지 않아 2~3시간 정도면 오를 수 있습니다.
인근 주민들 조기 등산지로, 아베크족의 데이트 코스로 각광을 받아왔던 동편은 남구에 접하고 서편은 부산진구에 접하고 있습니다.
북서쪽 산기슭에는 양정동, 중앙에 전포동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 산기슭에 부산 시민의 휴식처, 청소년의 수련장이 개장되어 있습니다.
황령산과 금련산은 망미 연산 양정 전포 대연동 등에서 오를 수 있습니다.
코스 선택은 교통편을 고려해 편리한 곳으로 결정하면 됩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황령산 기본 정보

 

 

주소 부산광역시 남구 황령산로 391-39, (대연동)
홈페이지 https://www.visitbusan.net
운영 시간 10:00~23:00
주차시설 주차가능
쉬는 날 명절 당일

오륙도 등대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오륙도 등대 소개


부산항의 상징인 오륙도는 육지에서 가장 가까운 방패섬은 세찬 비바람을 방패처럼 막아준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고, 소나무가 자생하고 있는 솔섬, 송곳처럼 뾰족하게 생긴 송곳섬, 독수리가 살았습니다고 하는 수리섬, 가장 큰 섬으로 큰 굴이 있는 굴섬, 육지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고 정상이 평평해 밭섬이라 불리다가 등대가 세워진 뒤부터 등대섬 불리는 여섯개의 섬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오륙도는 1972년 6월 부산시 기념물로 지정되었습니다가 2007년 국가지정문화재 명승 제24호로 승격된 곳으로, 봉우리와 뫼의 모양이 기이하고 바다 가운데 나란히 서 있어 동쪽에서 보면 여섯 봉우리가 되고 서쪽에서 보면 다섯 봉우리가 되어 보는 사람의 위치와 방향에 따라 다르게 보이는데서 유래한 것이라 합니다.
오륙도 밭섬에 등대가 세워진 것은 1937년 11월이며, 1876년 부산항이 개항하고 나서 부산의 관문인 오륙도 앞으로 배들이 드나들기 시작하자 항구를 오가는 선박들의 길잡이가 필요해 등대가 세워졌다.
오륙도 등대는 당초 6.2m 높이로 건립되었으나, 등대가 너무 낡아 1998년 12월 새롭게 건립하였고, 등탑 높이도 27.5m로 높이고 등대 내부에는 우리나라 주요 등대의 역사를 살펴볼 수 있는 등대역사 전시실을 갖추고 있습니다.
오륙도등대에 가려면 오륙도 선찬장에서 한시간 간격으로 있는 낚시배를 이용해야 하는데 정기적인 배편은 아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오륙도 등대 기본 정보

 

 

주소 부산광역시 남구 오륙도로 130, (용호동)
전화번호 051-607-6395
운영 시간 07:00~16:00
주차시설 있음(약 소형 50대, 오륙도선착장)
요금(유료)
쉬는 날 연중무휴

무민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무민사 소개


무민사(武愍祠)는 고려말 최영장군(1316~1388)의 시호를 딴 사당으로, 1397년(태조 6) 태조는 무민이라는 시호를 내려 최영장군의 넋을 위로하였습니다.
무민사가 소재한 남구 감만동의 옛 이름은 감만이포(戡蠻夷浦) 또는 감만이였다.
[감만] 또는 [감만이]라는 뜻은 [오랑캐를 쳐서 이긴다]로 풀이되며, 고려 말에서 조선 초 왜구가 우리나라 해안가에 빈번하게 침입하여 노략질하였을 때 감만 지역에도 왜구가 자주 출몰한 곳입니다.
임진왜란 때 이순신 장군[1545~1598]이 부산포 해전 당시 왜적을 감만 지역으로 유인하여 전멸시킨 바 있고, 임진왜란 이후에는 일본 침입을 대비하여 감만포에 경상 좌도 수군절제사영을 설치하였습니다.
이와 같은 지역의 특수성이 반영되어 고려 말 왜구 토벌에 앞장섰던 최영장군을 용맹한 장수로 받들고, 고려 왕조 마지막 충신의 죽음에 대한 애도의 마음을 담아 이곳에 무민사를 만든 것으로 보입니다.
1939년 무민사 철거 당시에 일본군이 제당을 철거하고 나무를 베어 버렸는데, 철거한지 3일 만에 일본군 부대장 중위 와타나베가 피를 토하고 죽었습니다는 이야기가 전하고 있습니다.

 

 

 

무민사 기본 정보

 

 

주소 부산광역시 남구 무민사로33번길 11-15,
쉬는 날 연중무휴

신선대(부산)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신선대(부산) 소개


신선대는 화산암으로 된 해안이 파도의 침식을 받아 형성된 곳으로, 산봉우리의 무제등이란 큰 바위에 신선과 신선이 탄 백마의 발자취가 있습니다는 설에서 이름이 유래되었습니다.
신라시대 최치원 선생이 이곳에서 풍류를 즐겼다고 하며, 신선이 노는 풍악소리가 들렸다고 전해질 만큼 풍경이 빼어난 곳입니다.
1797년 10월 영국의 해군탐사선이 이곳에 방문하여 8일간 체류하였는데, 200년 후인 1997년 정상 부근에 이를 기념하는 한영 첫 만남비가 세워져 있습니다.
1972년 부산광역시 지정문화재 기념물 제29호로 지정되었으며, 산 정상인 무제등에 오르면 부산항과 영도, 조도, 오륙도가 있는 탁트인 바다를 바라보기 좋은 곳입니다.
인근에 무제등 소공원도 조성되어 있습니다.

 

 

 

신선대(부산) 기본 정보

 

 

주소 부산광역시 남구 신선로303번길 6, (용당동)
홈페이지 https://www.bsnamgu.go.kr/
주차시설 있음(약 소형 50대)
요금(무료)
쉬는 날 연중무휴

오륙도 스카이워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오륙도 스카이워크 소개


오륙도 스카이워크의 옛 지명은 “승두말”입니다.
승두말은 말안장처럼 생겼다고 「승두마」라고 부르는 것이 승두말로 되었으며 해녀들과 지역주민들은 「잘록개」라고 불렀습니다.
바다를 연모하는 승두말이 오륙도 여섯섬을 차례대로 순산하고 나서 승두말의 불룩했던 부분이 잘록하게 들어가 선창나루와 어귀의 언덕을 만들었습니다는 것입니다.
동해와 남해의 경계지점이기도 한 이곳 승두말에 2012년 9월 12일에 착공하여 2013년 10월 18일 개장하면서 “하늘 위를 걷습니다”는 의미를 담아 “오륙도 스카이워크”라 이름하였습니다.
스카이워크는 35M 해안절벽 위에 철제빔을 설치하고 그 위에 유리판 24개를 말발굽형으로 이어놓은 15M의 유리다리입니다.
바닥유리는 12mm 유리판 4장에 방탄필름을 붙여 특수 제작한 두께 55.49mm의 고하중 방탄유리로 “안전하게 설계되었습니다.
”발아래 투명유리를 통해 파도가 절벽을 때리는 모습은 현기증이 날 정도로 아찔함을 느끼게 합니다.
스카이워크 앞에 펼쳐진 바다는 시시때때로 아름답고 다채로운 색상을 연출하고 있어 사진촬영의 명소이며, 날씨가 좋은 날에는 대마도를 가장 가까이 볼 수 있는 곳입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오륙도 스카이워크 기본 정보

 

 

주소 부산광역시 남구 오륙도로 137,
홈페이지 부산 남구 문화관광 https://www.bsnamgu.go.kr
운영 시간 개방시간 : 09:00~18:00 (입장마감 17:50)
※ 기상상황에 따라 이용 제한
주차시설 가능
쉬는 날 연중무휴 (단, 우천 및 강풍 시 또는 시설 개보수 시 휴무 / 설날,추석 당일 12:00~18:00)

이기대 (부산 국가지질공원)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기대 (부산 국가지질공원) 소개


약 8천만 년 전, 백악기 말 격렬했던 안삼암질 화산 활동으로 분출된 용암과 화산재, 화쇄류가 쌓여 만들어진 다양한 화산암 및 퇴적암 지층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곳에서는 파도의 침식에 의해 만들어진 해식애, 파식대지, 해식 동굴 등의 다양한 해안 지형의 특성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해안가를 따라 오륙도까지 이어지는 트레일코스를 통해 구리광산, 돌개구멍, 말꼬리구조, 함각섬석 암맥 등의 다양한 지질 및 지형경관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출처 : 부산지오파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기대 (부산 국가지질공원) 기본 정보

 

 

주소 부산광역시 남구 용호동,
홈페이지 http://www.busan.go.kr/geopark/
운영 시간 00:00~24:00
주차시설 가능
쉬는 날 연중무휴

지금까지 부산 남 가볼만한곳 베스트10에 대한 소개였습니다.

감사합니다

 

 

한국관광공사의 데이터를 토대로 작성한 글입니다. 참고한 데이터의 시기에 따라서 부정확한 정보가 있을 수 있습니다. 혹시 잘못된 정보가 있다면 댓글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데이즈 호텔 바이 윈덤 서울 명동 (Days Hotel By Whyndham Seoul Myeongdong) 서울 명동 호텔 이용 후기 및 리뷰 추천드려요

오사카 가성비 숙소 3U NAMBA MINAMI by DOYANEN